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크 메시에

덤프버전 :

마크 메시에의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No.3No.4No.7No.9No.11
앨 해밀턴
(Al Hamilton)
케빈 라우
(Kevin Lowe)
폴 커피
(Paul Coffey)
글렌 앤더슨
(Glen Anderson)
마크 메시에
(Mark Messier)
No.17No.31No.99
야리 쿠리
(Jari Kurri)
그랜트 퍼
(Grant Fuhr)
웨인 그레츠키
(Wayne Gretzky)



||
[ 펼치기 · 접기 ]

No.1No.2No.3No.7No.9
에디 자코맹
(Eddie Giacomin)
브라이언 리치
(Brian Leetch)
해리 하웰
(Harry Howell)
로드 질베르
(Rod Gilbert)
앤디 배스게이트
(Andy Bathgate)
No.9No.11No.19No.30
애덤 그레이브스
(Adam Graves)
빅 해드필드
(Vic Hadfield)
마크 메시에
(Mark Messier)
장 라텔
(Jean Ratelle)
헨릭 룬드크비스트
(Henrik Lundqvist)
No.35No.99
마이크 리히터
(Mike Richter)
웨인 그레츠키
(Wayne Gretzky)




파일:하키 명예의 전당 로고.svg
하키 명예의 전당 헌액자(2007)

파일:Bleacher_Report_logo.png NHL 역사상 위대한 선수 Top 100
[ 펼치기 · 접기 ]

※ 2011년 미국 스포츠 사이트 블리처리포트에서 NHL 역사상 최고의 선수 100명을 발표했다.
1위2위3위4위5위
웨인 그레츠키마리오 르미외바비 오어고디 하우바비 헐
6위7위8위9위10위
모리스 리샤르필 에스포지토더그 하비하위 모렌츠테리 서척
11위12위13위14위15위
레이 부르크글렌 홀장 벨리보마크 메시에스탠 미키타
16위17위18위19위20위
마이크 보시에디 쇼어테드 린지기 라플뢰르프랭크 마호블리치
21위22위23위24위25위
니클라스 리드스트룀브라이언 트로티에스티브 아이저먼마르셀 디온파트리크 루아
26위27위28위29위30위
데니스 포트빈바비 클라크피에르 필로트앨 매키니스브렛 헐
31위32위33위34위35위
도미니크 하셰크야로미르 야그르조 새킥폴 커피마르탱 브로되르
36위37위38위39위40위
데니스 사바르알렉스 델베키오켄 드라이든테무 셀래네토니 에스포지토
41위42위43위44위45위
래리 로빈슨론 프랜시스크리스 첼리오스맥스 벤틀리베르니 조프리옹
46위47위48위49위50위
조니 바우어페테르 슈타스트니레드 켈리자크 플랑트자니 뷰식
51위52위53위54위55위
질베르 페롤데일 하워척팀 호턴시드 아벨찰리 코나처
56위57위58위59위60위
얼 세이버페테르 포르스베리제레미 로에닉야리 쿠리보르예 셀링
61위62위63위64위65위
마크 레키키스 커척토 블레이크미셸 골레래니 맥도널드
66위67위68위69위70위
찰리 가디너애덤 오츠조 멀린킹 클렌시빌 콜리
71위72위73위74위75위
팻 라폰테인브라이언 리치뤽 로비타유베르니 파렌트앙리 리샤르
76위77위78위79위80위
크리스 프롱거스티브 라머앤디 배스게이트빌 모시엔코로드 랭웨이
81위82위83위84위85위
밀트 슈미트저롬 이긴라세르지 사바르조르주 베지나에릭 린드로스
86위87위88위89위90위
엘메르 라쉬마이크 모다노브래드 파크디키 무어딧 클래퍼
91위92위93위94위95위
더그 길모어로네 샤보마츠 순딘필 휴슬리자크 르메르
96위97위98위99위100위
스콧 스티븐스스콧 니더메이어파벨 다추크조 뉴언다이크에드 벨푸어
출처




파일:NHL 로고.svg
NHL 역사상 위대한 선수 100인
[ 펼치기 · 접기 ]

시드 아벨실 앱스앤디 배스게이트장 벨리보맥스 벤틀리
토 블레이크마이크 보시레이 부르크조니 바우어터크 브로다
마르탱 브로되르자니 뷰식파벨 부레크리스 첼리오스킹 클랜시
바비 클라크폴 커피찰리 코나커이방 쿠르누아예시드니 크로즈비
파벨 다추크알렉스 델베키오마르셀 디온켄 드라이든빌 더넌
필 에스포지토토니 에스포지토세르게이 표도로프페테르 포르스베리론 프랜시스
그랜트 퓨어밥 게이니마이크 가트너베르니 조프리옹웨인 그레츠키
글렌 홀더그 하비도미니크 하셰크팀 호턴고디 하우
바비 헐브렛 헐야로미르 야그르패트릭 케인던컨 키스
레드 켈리테드 케네디데이브 키언야리 쿠리엘머 라크
기 라플뢰르팻 라폰테인브라이언 리치자크 르메르마리오 르미외
니클라스 리드스트룀에릭 린드로스테드 린지앨 매키니스프랭크 마호블리치
마크 메시에스탠 미키타마이크 모다노디키 무어하위 모렌츠
스콧 니더메이어조 뉴언다이크애덤 오츠바비 오어알렉산드르 오베츠킨
베르니 파랑브래드 파크질베르 페롤자크 플랑트드니 포트뱅
크리스 프롱거장 라텔앙리 리샤르모리스 리샤르래리 로빈슨
뤽 로비타유파트리크 루아조 새킥뵈리에 살밍드니 사바르
세르주 사바르테리 서척밀트 슈미트테무 셀래네브랜던 섀너핸
에디 쇼어대릴 시틀러빌리 스미스페테르 슈타스트니스콧 스티븐스
마츠 순딘조너선 테이브스브라이언 트로티에조르주 베지나스티브 아이저먼
출처




파일:Order of Canada.png Order of Canada(2017)

파일:NHL 로고.svg NHL 수상 이력 / 보유 기록
[ 펼치기 · 접기 ]
파일:NHL 로고.svg 1984, 1985, 1987, 1988, 1990, 1994 스탠리 컵 파이널 우승

파일:NHL 로고.svg NHL All-Star Game
(1982, 1983, 1984, 1986,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6, 1997, 1998, 2000, 2004)

파일:NHL 로고.svg NHL All-Star Game Skills Competition Accuracy Shooting(1991, 1996)

파일:NHL 로고.svg NHL First All-Star Team(1982, 1983, 1990, 1992)

파일:NHL 로고.svg NHL Second All-Star Team(1984)

파일:하트 메모리얼 트로피.jpg
역대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23-241924-251925-261926-271927-28
프랭크 나이보어빌리 버치넬스 스튜어트허브 가디너하위 모렌츠
1928-291929-301930-311931-321932-33
로이 워터스넬스 스튜어트하위 모렌츠하위 모렌츠에디 쇼어
1933-341934-351935-361936-371937-38
오렐르 졸리아에디 쇼어에디 쇼어베이브 시버트에디 쇼어
1938-391939-401940-411941-421942-43
토 블레이크에비 굿펠로우빌 코울리토미 앤더슨빌 코울리
1943-441944-451945-461946-471947-48
베이브 프랫엘머 라크맥스 벤틀리모리스 리샤르버디 오코너
1948-491949-501950-511951-521952-53
시드 아벨척 레이너밀트 슈미트고디 하우고디 하우
1953-541954-551955-561956-571957-58
앨 롤린스테드 케네디장 벨리보고디 하우고디 하우
1958-591959-601960-611961-621962-63
앤디 배스게이트고디 하우베르니 조프리옹자크 플랑트고디 하우
1963-641964-651965-661966-671967-68
장 벨리보바비 헐바비 헐스탠 미키타스탠 미키타
1968-691969-701970-711971-721972-73
필 에스포지토바비 오어바비 오어바비 오어바비 클라크
1973-741974-751975-761976-771977-78
필 에스포지토바비 클라크바비 클라크기 라플뢰르기 라플뢰르
1978-791979-801980-811981-821982-83
브라이언 트로티에웨인 그레츠키웨인 그레츠키웨인 그레츠키웨인 그레츠키
1983-841984-851985-861986-871987-88
웨인 그레츠키웨인 그레츠키웨인 그레츠키웨인 그레츠키마리오 르미외
1988-891989-901990-911991-921992-93
웨인 그레츠키마크 메시에브렛 헐마크 메시에마리오 르미외
1993-941994-951995-961996-971997-98
세르게이 표도로프에릭 린드로스마리오 르미외도미니크 하셰크도미니크 하셰크
1998-991999-002000-012001-022002-03
야로미르 야그르크리스 프롱거조 새킥호세 테오도르페테르 포르스베리
2003-042004-052005-062006-072007-08
마르탱 생루이직장폐쇄로 수상자 없음조 손턴시드니 크로즈비알렉산드르 오베츠킨
2008-092009-102010-112011-122012-13
알렉산드르 오베츠킨헨리크 세딘코리 페리예브게니 말킨알렉산드르 오베츠킨
2013-142014-152015-162016-172017-18
시드니 크로즈비캐리 프라이스패트릭 케인코너 맥데이비드테일러 홀
2018-192019-202020-212021-222022-23
니키타 쿠체로프레온 드라이자이틀코너 맥데이비드오스턴 매튜스코너 맥데이비드







파일:테드 린지 상.jpg
역대 레스터 B. 피어슨 상 / 테드 린지 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국제 대회 수상 이력 / 보유 기록
[ 펼치기 · 접기 ]
1984 Canada Cup 캐나다 국가대표팀 금메달

1987 Canada Cup 캐나다 국가대표팀 금메달

1989 IIHF World Championship 캐나다 국가대표팀 은메달

1991 Canada Cup 캐나다 국가대표팀 금메달

1996 World Cup of Hockey 캐나다 국가대표팀 은메달

파일:마크 메시에.jpg
에드먼턴 오일러스 No.11
뉴욕 레인저스 No.11
마크 존 더글러스 메시에[1]
Mark John Douglas Messier OC[2]
출생1961년 1월 18일 (63세)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앨버타주 세인트 앨버트
국적
파일:캐나다 국기.svg

신체188cm, 95kg
포지션레프트윙센터
입단1979년 NHL 드래프트 3라운드 전체 48번 (EDM)
소속에드먼턴 오일러스 (1979~1991)
뉴욕 레인저스 (1991~1997)
밴쿠버 커넉스 (1997~2000)
뉴욕 레인저스 (2000~2004)
별명The Messiah

1. 개요
2. 선수 경력
3. 은퇴 이후
4. 기타
5. 연도별 기록
5.1. 정규 시즌
5.2. 플레이오프



1. 개요[편집]


캐나다의 前 아이스하키 선수. 오일러스 로컬보이로 웨인 그레츠키와 함께 오일러스 왕조를 세웠으며, 그레츠키 이적 이후 주장직을 맡아 1990년 스탠리 컵 파이널 우승을 들었고, 뉴욕 레인저스 이적 후에도 주장을 맡아 스탠리 컵을 드는 등 현재까지도 '서로 다른 팀에서 주장을 맡아 스탠리 컵을 든 유일한 선수'로 기록되었으며, 이를 기리기 위한 '마크 메시에 리더십 상'이 제정되어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친 주장'에게 수여하고 있다.

2. 선수 경력[편집]


1976년 아버지가 코치로 재직하던 주니어 리그에서 하키 경력이 시작되었다. 주니어 리그에서 함께 뛴 동료가 WHA의 인디애나폴리스 팀에서 코치로 재직하고 있어서 그의 아버지가 팀에 꽂아주기(?) 위해서 연락을 취했고, 인디애나폴리스는 마침 에드먼턴 오일러스로 이적한 웨인 그레츠키의 빈자리를 채워줄 선수가 필요하여 메시에가 입단할 수 있었다. 하지만, WHA에서 활약하는 것에 별로 탐탁치 않았던 메시에는 시즌 시작 때도 주니어리그에서 뛰다 11월 5일에 데뷔전을 치렀다. 하지만, 팀이 1978년 12월 15일에 해체되었고, 신시내티 스팅어스와 계약을 맺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팀이 아니라 WHA 리그 자체가 사라졌고, 스팅어스는 다른 팀들과 다르게 NHL에 가입하지 않아서 메시에는 1979년 NHL 드래프트에 참가, 인디애나폴리스 입단의 전임자 웨인 그레츠키가 있던 에드먼턴 오일러스에 3라운드 전체 48번으로 지명받았다.

2.1. 에드먼턴 오일러스 왕조[편집]


파일:1984 스탠리 컵.png
첫 시즌부터 징계 관련 문제로 하부 제휴팀인 휴스턴 아폴로스에 임시로 지명할당되는 우여곡절을 겪었지만, 데뷔 첫 해에 75경기 12골 21어시스트 33포인트를 기록했고, 81-82 시즌에는 레프트윙어로 출전하면서 시즌 50골을 기록, 자신의 유일한 50골 시즌을 보냈다. 82-83시즌에 처음으로 퍼스트 팀 선정되었지만, 1984년 플레이오프부터 센터로 포지션이 변경되면서, 득점을 책임지기 보다는 웨인 그레츠키, 글렌 앤더슨, 야리 쿠리 등의 팀원들을 받쳐주는 역할을 했다.

1984년 스탠리 컵 파이널에서 4연속 우승에 빛나는 뉴욕 아일런더스를 맞이했고, 3차전의 메시에의 화려한 골이 오일러스 쪽으로 분위기를 가져왔고, 결국 오일러스가 아일스 제국을 무너뜨리면서 왕조의 서막을 올리는 첫 우승을 거뒀고 본인도 콘 스마이스 트로피를 수상했다.

1984년 12월 26일, 캘거리 플레임스의 제이미 마쿤이 자신에게 보딩을 범한 보복으로 주먹을 날려 광대뼈를 부러뜨려 10경기 정지 처분을 받았다.[3]

1985년에도 우승하면서 리핏에 성공했지만, 시즌 개막전인 1985년 9월 6일에 주차되어있는 차 3대를 들이받고 기소되어 벌금을 무는 사고를 쳤다.

1987년, 1988년 우승을 끝으로 올스타급 멤버의 연봉을 감당하지 못한 오일러스는 주력 선수들을 하나둘씩 트레이드시키기 시작했고, 웨인 그레츠키까지 확장 프랜차이즈 로스앤젤레스 킹스로 트레이드되면서 주장직을 물려받음과 동시에 오일러스 왕조는 무너질 것처럼 보였지만, 앤더슨이나 쿠리 등 남은 멤버들의 분전으로 1990년에 다섯 번째 스탠리 컵을 들어올리면서 세간을 놀라게 했다. 시즌 종료 후, 레이 부르크를 누르고 근소하게 표차가 앞서면서 첫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 수상까지하는 겹경사를 겪었다.
파일:1990 스탠리 컵.jpg
주장으로서 첫 스탠리 컵을 들어올리는 메시에

계약은 1993년까지 되어있었지만, 그의 대리인을 맡고 있던 아버지 덕 메시에가 오일러스 프런트와의 연장 계약 합의의 실패했고, 다음 시즌인 1990-91시즌이 끝나자, 스타급 선수들의 고액 연봉으로 재정적인 부담에 시달리던 오일러스는 애덤 그레이브스를 트레이드시켰고, 이에 불만을 가진 메시에가 1991년 캐나다 컵 대회 인터뷰에서 공개적으로 트레이드를 요구했다. 결국, 91-92 시즌을 앞두고 오일러스는 페이롤 절감을 위해서 메시에를 포함하여 루이 드브러스크, 버니 니콜스, 스티븐 라이스 등과 함께 애덤 그레이브스가 있는 뉴욕 레인저스로 트레이드되었다.

2.2. 뉴욕 레인저스 1기[편집]


이적 첫 시즌인 91-92시즌부터 개인적으로는 생애 두 번째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 수상에, 팀 역시 정규시즌 리그 1위로 창단 첫 프레지던트 트로피를 수상하는 등 좋은 분위기를 이어나갔지만, 2라운드에서 마리오 르미외, 야로미르 야그르, 백지선 등이 활약한 도깨비 팀 피츠버그 펭귄스에게 6차전 끝에 패배했고, 정규시즌 1위를 꺾고 올라간 펜스가 그대로 스탠리 컵 파이널에서 우승을 거뒀다.

1992-93시즌, 레인저스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고 메시에 역시 데뷔 처음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다.

1993-94시즌에는 다시 강력한 면모를 보이며 두 번째 프레지던트 트로피를 수상했고, 이번에야 말로 우승할 것이라는 여론이 지배적이었다. 동부 컨퍼런스 파이널까지 진출한 레인저스는 뉴저지 데블스와의 대결이 성사되었지만, 원정 경기에서 시원찮은 경기력 끝에 2승 3패로 엘리미네이션 상황에 처했다.
파일:external/smb.cdnak.nyc.neulion.net/115487_eb.jpg
그리고 운명의 6차전 당일인 1994년 5월 25일 아침, 메시에의 "오늘밤 우리가 이길 것."이라는 예언이 뉴욕 포스트 1면에 대문짝하게 박혔다. 물론 사람들은 "개떡같은 원정 경기력 보여줘놓곤 무슨 미친 소리인가? 팀원들의 사기진작시키려는 것이구나"라고 생각했고, 뉴저지 원정 경기에서 시작부터 2:0으로 밀릴 때까지만 해도 역시 허풍에 불과했나 싶었으나... 3피리어드에 몸소 해트트릭으로 캐리하면서 자신이 뱉은 말을 정말로 지켰다! 기세 탄 레인저스는 7차전에서 2OT까지 가는 승부 끝에 승리하면서 파이널에 진출했다.
파일:마크 메시에 레인저스 스탠리 컵.jpg
밴쿠버 커넉스와의 파이널 역시 7차전까지 가는 혈투가 벌어졌고, 메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벌어진 7차전에서 직접 결승골까지 넣으면서 레인저스의 무려 54년만의 우승을 이뤄냈다!! 또한, 복수의 팀의 주장을 맡아 스탠리 컵 우승을 거둔 최초의 선수라는 타이틀까지 얻었다.

95-96시즌에도 만 35세의 나이에 99포인트를 기록하며 정정한 모습을 보여줬고, 96-97 시즌에 웨인 그레츠키가 레인저스로 이적하면서 재회했다. 둘은 다시 한번 동부 컨퍼런스 파이널까지 팀을 올려놓았지만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에게 5차전 컷당하면서 둘이 같이 다시 스탠리 컵을 드는 것은 좌절되었다.

그레츠키의 선수경력 마지막 해가 될 97-98 시즌을 앞두고 만 36세인 메시에는 AAV $6M을 요구했지만, 레인저스와 메디슨 스퀘어 가든 측에서 그 만한 가치가 없다고 판단 하에 결별하였다.

2.3. 밴쿠버 커넉스[편집]


6년만에 캐나다로 돌아온 메시에는 큰 화제를 불러모았고, 당시 커넉스의 주장이었던 트레버 린든은 그에게 기꺼이 주장직을 넘겨주었다. 하지만, 당시 커넉스는 GM과 감독 모두 해고된 상태였고 신임 GM 겸 감독으로 부임한 마이크 키넌이랑 레인저스에 이어서 재회했다. 그런데, 키넌은 취임하자마자 린든을 뉴욕 아일런더스로 트레이드시켜버렸다(...)[4]

메디슨 스퀘어 가든으로 돌아왔을 때는 레인저스의 팬들이 박수갈채로 환영해주기도 했지만, 만36세의 나이는 역시 버거웠던 탓인지 시즌 60포인트로 커리어 로우를 기록하고 말았다. 특히, 비슷한 돈 받는 조 새킥이나 스티브 아이저먼같은 스타플레이어들의 활약과 더욱 비교된 건 덤. 결국, 커넉스에서의 3시즌동안 키넌 감독과 메시에는 단 한번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한 채 각각 경질 및 FA신분으로 각자 갈 길을 걷게 되었다.

2.4. 뉴욕 레인저스 2기[편집]


메시에가 3년동안 플레이오프 진출하지 못하는 동안 레인저스 역시 3년 내내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메시에를 잡지 않은 GM 닐 스미스는 결국 경질되었고, 오일러스 시절 감독이었던 글렌 새더가 취임했다. 레인저스는 만 40세가 된 메시에와 복귀 계약을 맺었고, 2000-01 시즌 첫 해부터 커넉스 시절보단 나은 67포인트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듬해에 팔 부상으로 23포인트에 그쳤고, 노쇠할 대로 노쇠해진 메시에는 2003년 6월 30일, 4라운드 픽으로 산호세 샤크스로 트레이드되었다. 하지만, 샤크스는 불과 몇 시간만 그의 보유권을 가진 채로, 메시에는 레인저스와 재계약을 체결했다.

2003년 11월 4일, 댈러스 스타스전에 '''고디 하우를 넘어 1851포인트를 기록하며 웨인 그레츠키에 이은 역대 2위에 올랐다. 11월 25일에는 에드먼턴에서 열린 첫 NHL 헤리티지 클래식에도 이미 은퇴했던 옛 오일러스 동료들과 함께 참석했고, 3월 31일 버팔로전에서 메디슨 스퀘어 가든에서의 마지막 경기를 치렀다. 03-04시즌을 끝으로 은퇴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04-05시즌이 직장폐쇄로 통째로 날아갔고, 2005년 9월 12일에 정식으로 은퇴를 발표했다.

3. 은퇴 이후[편집]


2006년 1월 12일, 뉴욕 레인저스에드먼턴 오일러스와의 경기를 앞두고 영구결번식을 진행했다. 오일러스 역시 2007년 2월 27일 피닉스 카이오티스와의 경기 때 영구결번식을 치렀다. 같은 해 11월 12일에 하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006년 11월 13일, NHL은 본인의 이름을 딴 '마크 메시에 리더십 상'을 제정했다. 이후에는 NBC 스포츠 해설이나 분석가로 활동하기도 했다.

2017년 6월 30일, 캐나다 2급 훈장을 받았다.

4. 기타[편집]




5. 연도별 기록[편집]



5.1. 정규 시즌[편집]


정규 시즌 기록
소속시즌GPGAP+/-PIMPPGPPPSHGSHPGWGOTGSS%FO%
E
D
M
1979-8075122133-912013121011310.62-
1980-8172234063-12102410031017912.85-
1981-8278503898201191015013023521.28-
1982-8377485810618721232152023720.25-
1983-84733764101401657254117022016.82-
1984-85552331541057412581013816.67-
1985-866335498435701023587119817.68-
1986-8777377010722737284115021017.62-
1987-88773774111211031233387018220.33-
1988-8972336194-51306346124016420.12-
1989-90794584129197913476113121121.33-
1990-91531252641534321112110911.01-
N
Y
R
1991-9279357210731761233496121216.51-
1992-9375256691-672730242021511.63-
1993-94762658842576636295121612.04-
1994-9546143953840320332012611.11-
1995-9674475299291221437145124119.5-
1996-977136488412887185119022715.86-
V
A
N
1997-9882223860-1058825242013915.8354.28
1998-9959133548-123342227209713.453.91
1999-0066173754-1530619014213112.9856.77
N
Y
R
2000-0182244367-25891229362013118.3255.51
2001-024171623-1322801206910.1453.62
2002-0378182240-230816115011715.3852.89
2003-047618254334215233010417.3154.96
NHL 통산
(25시즌)
175669411931887211191217958163144928422116.4-

5.2. 플레이오프[편집]


플레이오프 기록
소속시즌GPGAP+/-PIMPPGPPPSHGSHPGWGOTGSS%FO%
E
D
M
1979-80312322001100119.09-
1980-819257113020000248.33-
1981-825123-48010000175.88-
1982-83151562111144622205030-
1983-84198182691911011206312.7-
1984-851812132514121311105621.43-
1985-861046100180123002317.39-
1986-872112162813161522106219.35-
1987-881911233492971711004226.19-
1988-89711112-18050100234.35-
1989-9022922315201912104719.15-
1990-911841115216130000419.76-
N
Y
R
1991-92117714-462322002725.93-
1993-9423121830143321012407516-
1994-951031013-1182801102611.54-
1995-96114711-1016260010419.76-
1996-9715391226030010436.98-
NHL PO통산
(17시즌)
236109186295522442492141914067116.2-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1 13:35:02에 나무위키 마크 메시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ˈmɛsieɪ/, 본 문서는 '마크 메시어'로도 들어올 수 있다.[2] 캐나다 훈장 2등급, 2017년에 서훈[3] 여담으로, 이 둘은 4년 뒤에도 또 싸웠다.[4] 이 양반은 세인트루이스 블루스 시절에도 당시 블루스의 주장이었던 브렛 헐과 공개적으로 힐난하는 등 싸우다가 경질당한 경력이 있다.